프로그램 / 프로그램
프로그램
* 하기 프로그램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.
DAY 1 (09.18.) – 3F 그랜드볼룸
← 좌우로 드래그하세요 →
시 간 | 세부 내용 |
---|---|
10:00-10:30 | 개회식 |
10:30-11:50 |
[플레너리 세션 I] 민주주의 위기와 평화공존의 과제
기조강연 I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학교 교수 (『정의란 무엇인가』 저자)
대담자 I 김기정 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 |
12:00-13:30 |
오찬
|
13:30-15:00 |
[플레너리 세션 II] 한반도와 동북아, 평화공존에의 길
좌장 I 홍현익 세종연구소 명예연구위원 (前 국립외교원 원장)
패널 I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 파운데이션 대표, 자칭궈 베이징대학교 교수, 소에야 요시히데 게이오대학교 명예교수, 게오르기 톨로라야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경제연구소 사무총장 |
15:20-16:40 |
[세션 1] 남북 교류협력을 위한 로드맵
좌장 I 김병로 서울대학교 교수
패널 I 베른하르트 젤리거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장, 임은정 국립공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, 김규철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, 최용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|
17:00-18:20 |
[세션 2] 트럼프 시대 한반도 평화공존의 과제
좌장 I 김연철 인제대학교 교수 (前 통일부 장관)
패널 I 피터 셈네비 스웨덴 외교부 한반도 특사, 김태형 숭실대학교 교수 (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), 제니퍼 린드 다트머스대학교 교수, 기무라 칸 고베대학교 교수 |
DAY 2 (09.19.) – 6F 누리볼룸
← 좌우로 드래그하세요 →
시 간 | 세부 내용 |
---|---|
10:30-12:00 |
[플레너리 세션 III] 한반도 평화를 위한 치유와 화해
기조강연 I 김희중 천주교 광주대교구 대주교 (前 천주교광주대교구장)
대담자 I 채사장 작가 (『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』 저자) |
12:00-13:30 |
오찬
|
13:30-14:50 |
[세션 3-1] 한반도 평화를 위한 다자 파트너십
좌장 I 김범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원장/교수
패널 I 소에야 요시히데 게이오대학교 명예교수, 존 에버라드 前 주북 영국대사, 람펑얼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위원 / 한국센터장, 백우열 연세대학교 교수 |
[세션 3-2]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발전 방향
좌장 I 조성렬 경남대학교 초빙교수
패널 I 최영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 (前 통일부 차관), 김성경 서강대학교 부교수, 서보혁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왕선택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|
|
15:10-16:20 |
[세션 4-1] 국가안보전략과 평화공존
좌장 I 이성훈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 책임연구원
패널 I 장철운 통일연구원 연구위원, 김한권 국립외교원 부교수 겸 중국연구센터장, 전경주 한국국방연구원 한반도안보연구실장, 손한별 국방대학교 교수, 최윤정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|
[세션 4-2]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시민사회 역할
좌장 I 이기호 한신대학교 교수
패널 I 사라 손 쉐필드대학교 교수, 이영아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팀장, 이대훈 (사)피스모모 평화/교육연구소 소장 |
|
16:40-18:00 |
[세션 5-1] 평화로운 한반도를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
좌장 I 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
패널 I 탕 솅야오 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 소장, 제임스 히난 유엔인권사무소 한국대표,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, 김수현 UNESCO방콕사무소 사무소장 |
[세션 5-2] 시민사회 연대를 통한 북한 인도지원 개발협력 방안 모색
좌장 I 이승환 시민평화포럼 공동대표 (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)
패널 I 조성찬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원장, 이예정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국장, 최현아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 수석연구원 |
DAY 1 (09.18.) – 3F 그랜드볼룸
← 좌우로 드래그하세요 →
시 간 | 세부 내용 |
---|---|
10:00-10:30 | 개회식 |
10:30-11:50 |
[플레너리 세션 I] 민주주의 위기와 평화공존의 과제
기조강연 I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학교 교수 (『정의란 무엇인가』 저자)
대담자 I 김기정 前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원장 |
12:00-13:30 |
오찬
|
13:30-15:00 |
[플레너리 세션 II] 한반도와 동북아, 평화공존에의 길
좌장 I 홍현익 세종연구소 명예연구위원 (前 국립외교원 원장)
패널 I 프랭크 자누지 맨스필드 파운데이션 대표, 자칭궈 베이징대학교 교수, 소에야 요시히데 게이오대학교 명예교수, 게오르기 톨로라야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경제연구소 사무총장 |
15:20-16:40 |
[세션 1] 남북 교류협력을 위한 로드맵
좌장 I 김병로 서울대학교 교수
패널 I 베른하르트 젤리거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장, 임은정 국립공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, 김규철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, 최용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원장 |
17:00-18:20 |
[세션 2] 트럼프 시대 한반도 평화공존의 과제
좌장 I 김연철 인제대학교 교수 (前 통일부 장관)
패널 I 피터 셈네비 스웨덴 외교부 한반도 특사, 김태형 숭실대학교 교수 (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), 제니퍼 린드 다트머스대학교 교수, 기무라 칸 고베대학교 교수 |
DAY 2 (09.19.) – 6F 누리볼룸
← 좌우로 드래그하세요 →
시 간 | 세부 내용 |
---|---|
10:30-12:00 |
[플레너리 세션 III] 한반도 평화를 위한 치유와 화해
기조강연 I 김희중 천주교 광주대교구 대주교 (前 천주교광주대교구장)
대담자 I 채사장 작가 (『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』 저자) |
12:00-13:30 |
오찬
|
13:30-14:50 |
[세션 3-1] 한반도 평화를 위한 다자 파트너십
좌장 I 김범수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원장/교수
패널 I 소에야 요시히데 게이오대학교 명예교수, 존 에버라드 前 주북 영국대사, 람펑얼 싱가포르국립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위원 / 한국센터장, 백우열 연세대학교 교수 |
[세션 3-2]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의 발전 방향
좌장 I 조성렬 경남대학교 초빙교수
패널 I 최영준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초빙교수 (前 통일부 차관), 김성경 서강대학교 부교수, 서보혁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, 왕선택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|
|
15:10-16:20 |
[세션 4-1] 국가안보전략과 평화공존
좌장 I 이성훈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 책임연구원
패널 I 장철운 통일연구원 연구위원, 김한권 국립외교원 부교수 겸 중국연구센터장, 전경주 한국국방연구원 한반도안보연구실장, 손한별 국방대학교 교수, 최윤정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|
[세션 4-2]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시민사회 역할
좌장 I 이기호 한신대학교 교수
패널 I 사라 손 쉐필드대학교 교수, 이영아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팀장, 이대훈 (사)피스모모 평화/교육연구소 소장 |
|
16:40-18:00 |
[세션 5-1] 평화로운 한반도를 위한 국제기구의 역할
좌장 I 오준 세이브더칠드런 이사장
패널 I 탕 솅야오 FAO 한국협력연락사무소 소장, 제임스 히난 유엔인권사무소 한국대표, 제롬 김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, 김수현 UNESCO방콕사무소 사무소장 |
[세션 5-2] 시민사회 연대를 통한 북한 인도지원 개발협력 방안 모색
좌장 I 이승환 시민평화포럼 공동대표 (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)
패널 I 조성찬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원장, 이예정 우리민족서로돕기운동 사업국장, 최현아 한스자이델재단 한국사무소 수석연구원 |